연구 지도 방침
  • 학생 진로를 최우선으로 두며 진로 확정 시 언제든지 졸업 가능
  • 국제 우수 논문 작성에 중점을 둡니다 (연구페이지)
  • 참여 프로젝트:
    • 의료 AI: 한림대 의료원 등 6개 병원과 10여개의 프로젝트 수행 중. 1인 1프로젝트 참여.
    • AI 보안 (대학원): AI가 유발하는 다양한 보안 이슈(생성형 AI 안전/탐지 등)에 대한 연구
  • 프로젝트 참여에 따른 인건비 지급 (학사 30~, 석사 100~ )
    • 학업 성취도와 연구실 운영사정에 따라 추가금 지원
    • 박사과정생은 최대 인건비에 준하는 금액 지급. 세부 내용 협의.
  • 연구 활동을 위해 수강을 계획해야 하는 교과목  
    • 파이썬 -> 인공지능수학(2학기), 딥러닝(2학기) -> 영상처리와 딥러닝(1학기)
지원하는 법
  • 학부 전공 2~3학년, 혹은 연구실 석사 진학에 관심있는 4학년 학생
    1. 성적표 스크린샷과 간단한 자기 소개를 제 이메일(juhou@hallym.ac.kr)로 보내주세요. 
    2. 선발 기준:
      • 가능성: 기초 전공 우수(평점 3.5↑), 혹은 전공 성적이 크게 향상 중임
      • 성실성: 연구실에 매일 나와 공부할 수 있는 꾸준함
      • 우대사항: 석/박사 지망생, 코딩 or 영어 우수, 핵심 전공 A+
  • 현재 재학중인 연구생(링크)을 통하여 연구생 생활에 대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생들의 수상/논문 성과
  1. 이윤걸,김강수,조정덕,서상혁 2024 SW인재 페스티벌 학교 대표, 인기상, 2024, 12.
  2. 문희찬, 이가현, 이다해 2024 한림대의료원 Clincial 경진대회, 우수상, 2024, 11.
  3. 허홍준, 2024 부산 해양데이터 해커톤, 우수상(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 표창), 2024, 10.
  4. 조정덕,김강수,이재호 2024 한국 천문 연구원-카이스트 제 1회 천문 우주 AI 경진대회, 화성상(3등), 2024, 9.
  5. 박민규, 2024 SW 중심 대학 디지털 경진 대회, 우수상(SW중심대학협의회장상), 2024, 8.
  6. 이재호, 조정덕, 서상혁, 2024 SW 중심 대학 디지털 경진 대회, 후원기업상, 2024, 8.
  7. 강민제, 최재홍 외 2인, 2023 국방 AI 경진대회, 장려상(3등), 2023. 12.
  8. 정유빈, 이재호, 2022 국방 AI 경진대회, 특별상(4등), 2022.12. [기사1][기사2]
  9. 이재호, SW중심대학 공동 AI경진대회, 장려상, 이재호, 2022.12.
  10. 강민제, 고성지, 이재호, 정유빈, SW중심대학 공동 AI 경진대회, SW중심대학협의회 회장상(3위), 2023. 08. [인터뷰]
  11. 고성지, 한국정보보호학회, 동계학술대회(CISC-W), 우수논문상(학부생), 2022.11. 
  12. 이승리, 최재홍,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대회(ACK2022), 우수논문상, 2022.11.
  13. 최민기,이소은,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대회(ACK202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장상, 2022.11.
  14. 이상영,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대회(ACK2022), 학부생논문경진대회 은상, 2022.11.
  15. 고성지, 한국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대회(ACK2022), 학부생논문경진대회 장려상, 2022.11.
  16. 고성지, 이윤걸, SW중심대학협의회, SW중심대학 공동 AI경진대회, 장려상, 2022.10.
  17. 고성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SW융합클러스터, 제 9회 대한민국 SW융합 해커톤, 대상, 2022.09. [인터뷰]
  18. 이상영, 산업통상자원부, 제19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자유공모, 임베디드 SW System 산업협회 회장상, 2021.11.
  19. 심보석, 신유승, 이상영,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인공지능연구회, 제2회 한국인 감정인식 경진대회, 동상, 2020.11.
학부연구생 상세 안내

1. 학부연구생 선발 및 초기 과정

학부연구생의 경우 학기 중 수업 및 학과 공지 등을 통한 신청 기간에 선발하며, 연구실의 상황에 따라 그 외의 기간에도 수시로 모집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2~3학년 학생 혹은 석사를 희망하는 4학년 학생을 받고 있으며, 선발 시 고려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능성: 기초 전공을 우수하게 이수하였거나, 전공 성적이 크게 향상 중임
  • 성실성: 연구실에 매일 나와 공부할 수 있는 꾸준함
  • 그 외 +요소: 석/박사 지망생, 영어 우수자, 지도 교수 담당 수업에서 A학점 획득

학부연구생으로 선발되면 연구실에 출근하여 일정기간(2~3개월) 실무를 위한 기초 공부와 기본기를 쌓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일정 수준 이상의 실무 능력과 성실성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학생에게는 아래에 설명할 다양한 기회가 주어질 수 있습니다. 

2. 의대/정부/산학 프로젝트 

정부 및 의과대학 프로젝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1~3명(선/후배 학생)이 한 팀이 되어 교수 지도 하에 참여하게 됩니다. 참여하는 학생은 주기적으로 지도 교수와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미팅을 진행하게 됩니다.  참여 학생은 프로젝트 종류에 따라 소정의 인건비를 받을 수 있으며, 연구 결과물에 실질적 기여를 하는 학생은 추후 논문 및 특허 작성 시 저자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3. 논문연구 프로젝트

경험이 어느정도 쌓인 학생은 국제학회 및 SCI저널 등을 목표로 논문을 작성하는 프로젝트를 만들거나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1저자가 되어 논문을 작성하게 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우수 국제학술대회 및 저널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며, 지도 교수는 논문이 게재되는데 도움이 되는 모든 부분을 지도합니다. 연구생이 우수 논문을 준비하고 내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지만(최소 1년 소요) 관련 분야의 취업 및 진학에 있어 강력한 포트폴리오가 됩니다. (Research참조)

4. 인공지능 경진대회

학생들은 외부에서 주관하는 인공지능 경진대회에 선후배들과 팀을 꾸려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은 최고의 경진대회 환경을 위해 고성능 딥러닝 하드웨어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NVIDIA RTX4090 7대, RTX3090 13대 등 보유), 중요 대회의 경우 지도 교수 허락 하에 연구실의 하드웨어 자원을 모두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 그 외

저는 우수한 졸업생과 좋은 논문 두 가지가 연구/교육 기관으로써 저희 연구실의 가장 큰 성취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연구실의 모든 지도는 학생의 희망 진로를 중심으로 두고 있으며, 졸업생의 진로는 그 무엇보다 최우선 시 됩니다. 단, 지도 교수와의 정기 면담이 많지 않으므로(한 학기 1~2회), 진로 설정에 고민이 있는 경우 본인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면담을 신청해 주어야 합니다. 

그 외로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 프로젝트 참여는 학생의 희망 진로와 재학 기간, 수행 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재학 기간과 프로젝트 기간이 맞지 않는 경우 참여가 힘들 수 있습니다. 
  • 매 학기 면담 시 상호 간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학기 단위(6개월)로 연구생을 계속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 학생과 방향성이 맞지 않는 경우, 성실성이나 수행 능력이 부족한 경우, 그 외 프로젝트를 지속할 수 없는 사정이 생긴 경우 해당 자리는 새로운 학부연구생으로 대체됩니다. 
  • 협의 하에 졸업 이후나 휴학 상태로도 연구원 생활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면담을 통해 연구원 TO가 있는지 문의해 주시길 바랍니다.